파이썬으로 시작하는 셀레니움 - 01
파이썬으로 셀레니움을 사용할 수 있다.
파이썬으로 시작하는 셀레니움 - 01
1. Selenium 소개
Selenium은 웹 브라우저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다.
사람이 직접 브라우저에서 클릭하거나 입력하는 작업을 프로그래밍 코드로 자동화할 수 있다.
Python, Java, C#, JavaScript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며, 특히 Python과의 궁합이 좋아 자동화 작업에 널리 사용된다.
Selenium은 본래 웹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자동화를 위해 만들어졌지만, 현재는 다양한 웹 브라우저 자동화 용도로도 활용된다.
2. Selenium 활용
- 웹사이트 자동 로그인
- 반복적인 정보 입력
- 웹 페이지 데이터 수집 (스크래핑)
- 웹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자동화
활용 분야 | 설명 |
---|---|
테스트 자동화 | 웹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자동으로 테스트하여 품질을 검증 |
웹 크롤링 | 웹페이지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 (동적 페이지 포함) |
업무 자동화 | 반복적인 웹 작업을 자동화 (로그인, 검색, 정보 등록 등) |
교육 및 실습 | 웹 구조 이해, 자동화 학습 도구로 활용 |
예를 들어, 매일 특정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수백 개의 페이지에서 정보를 수집해야 할 때 Selenium은 사람이 직접 하지 않아도 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.
3. Selenium 동작 구조
🔧 구성 요소
구성 요소 | 설명 |
---|---|
Selenium WebDriver | 실제 브라우저와 소통하며 조작을 수행하는 엔진 |
브라우저 드라이버 | 브라우저와 WebDriver를 연결해주는 중간 매개체 (예: chromedriver ) |
웹 브라우저 | 사용자가 평소 사용하는 Chrome, Firefox, Edge 등 실제 브라우저 |
🔄 동작 흐름
1
Python 코드 → Selenium WebDriver → 브라우저 드라이버 → 웹 브라우저
즉, Python 코드가 WebDriver에게 명령을 주면, WebDriver는 브라우저 드라이버를 통해 실제 브라우저를 조작하게 된다.
예를 들어, driver.get(“https://example.com”) 이라는 코드를 실행하면, 브라우저 드라이버가 실제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해당 주소로 이동한다.
4. Selenium 장점
Selenium은 단순한 스크래핑 도구와는 차별화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.
No. | 장점 | 내용 |
---|---|---|
1 | 사람처럼 브라우저를 조작 | 마우스 클릭, 키보드 입력, 스크롤 등 직접적인 제어 가능 |
2 | 동적 웹페이지 대응 가능 | JavaScript로 렌더링된 콘텐츠도 처리 가능 |
3 | 여러 브라우저 지원 | Chrome, Firefox, Edge 등 다양한 브라우저 사용 가능 |
4 | 멀티 플랫폼 | Windows, macOS, Linux 모두 지원 |
5 | 다양한 언어 호환 | Python뿐만 아니라 Java, C#, JavaScript 등 다양한 언어로 사용 가능 |
6 | 테스트 자동화 프레임워크와 연동 용이 | Pytest, JUnit 등과 함께 테스트 자동화 가능 |
5. Selenium vs BeautifulSoup
Selenium은 웹 브라우저를 직접 제어하는 반면, BeautifulSoup은 HTML 문서를 분석하여 데이터만 추출한다.
📊 Selenium vs BeautifulSoup 비교표
구분 | Selenium | BeautifulSoup |
---|---|---|
작동 방식 | 실제 브라우저를 실행함 | HTML 소스만 파싱함 |
JavaScript 처리 | 가능 | 불가능 (렌더링 전 데이터만 수집) |
속도 | 느릴 수 있음 (브라우저 구동) | 빠름 |
설치 구성 | WebDriver 필요 | 간단한 설치로 사용 가능 |
사용 목적 | 자동화 + 스크래핑 | 정적 페이지의 데이터 추출에 적합 |
단순히 HTML 데이터를 가져오는 작업이라면 BeautifulSoup이 빠르지만, 동적 페이지나 자동화가 필요할 때는 Selenium을 사용해야 한다.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